Visual Studio 2015 로 전환 중인데 hash_map 이 deprecate 처리되어 있어 당황했다. unordered_map 을 쓰는게 맞는데 코드를 전부 바꾸려니 귀찮았다. unordered_map 을 hash_map 이라는 이름으로 쓰고 싶어서 찾아보니 C++ 11 에 alias template 이라는 방법 있었다.

 

// type alias used to hide a template parameter
template<class CharT>
using mystring = std::basic_string<CharT, std::char_traits<CharT>>;
mystring<char> str;

 

 

출처 : http://en.cppreference.com/w/cpp/language/type_alias

728x90

자체 lib 를 사용하는 플러그인 형태의 코드를 사용하고 있는데 Win32 빌드를 했다. 마른 하늘에 날벼락같은 C1905 오류로 링크가 실패했다.


심각한 오류 C1905


프런트 엔드와 백 엔드가 호환되지 않습니다. 같은 프로세서를 대상으로 해야 합니다.


출처 : https://msdn.microsoft.com/ko-kr/library/414e6214.aspx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obj 파일의 x86, ARM, x64 와 같은 타겟 머신이 다를 경우에 발생하는 오류다. dumpbin 으로 확인해봤으나 사용하는 lib 파일들은 다 x86 이었다.


한동안 해결을 못하고 막혀 있다가 혹시나 싶어 옵션들을 확인해봤다. lib 파일의 전체 프로그램 최적화 옵션을 '링크 타임 코드 생성 사용'에서 '전체 프로그램 최적화 안 함'으로 바꿨더니 문제가 사라졌다.


x64 버전은 '링크 타임 코드 생성 사용' 옵션으로 해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lib 파일을 '링크 타임 코드 생성 사용'으로 하고 자체 제작한 테스트용 exe 파일을 '전체 프로그램 최적화 안 함'이나 다른 옵션으로 바꿔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UE4 빌드시에 어떤 옵션이 충돌하지는 모르겠으나 링크 시 C1905 오류가 발생한다면 자체 제작한 lib 의 전체 프로그램 최적화 옵션을 '전체 프로그램 최적화 안 함'으로 바꾸고 시도해 보길 바란다.


728x90

자동 빌드된 결과물 commit 하는 배치파일을 만들고 있다.


svn revision 을 로그로 남기고 싶어 조사해보니 svn info 나 svnversion 이라는 명령어를 이용해 가져올 수 있었다.


출력된 결과물을 파일로 리다이렉트해서 svn commit 시에 -F 옵션을 이용해도 된다.


파일로 출력하는게 실패할 가능성이 있어 환경변수로 설정하는 방법이 있나 찾아보니 for 를 이용하면 가능했다.


for /f "delims=" %%a in ('svnversion') do @set myvar=%%a



출처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635632/can-i-set-an-environment-variable-with-the-svn-revision-number-of-a-project

728x90

Link 오류가 발생하는데 자세한 실행 옵션을 보고 싶었다. UnrealBuildTool 를 실행할 때 -verbose 옵션을 주는 법이 있는데 VS 에서 빌드로 실행할 때 보고 싶었다.


%appData%\Unreal Engine\UnrealBuildTool\BuildConfiguration.xml 파일에 아래와 같이 설정할 수 있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xmlns="https://www.unrealengine.com/BuildConfiguration">

<BuildConfiguration>

<LogLevel>VeryVerbose</LogLevel>

</BuildConfiguration>

</Configuration>


LogLevel 은 7단계 인 것 같다.


public enum LogEventType

{

Fatal = 1,

Error = 2,

Warning = 4,

Console = 8,

Log = 16,

Verbose = 32,

VeryVerbose = 64

}


728x90

Win64 로 작업하던 프로젝트를  Win32 로 빌드해보니 링크 오류가 발생했다.


EXEC : fatal error C1905: 프런트 엔드와 백 엔드가 호환되지 않습니다. 같은 프로세서를 대상으로 해야 합니다.

LINK : fatal error LNK1257: 코드를 생성하지 못했습니다.


어떤 lib가 x86 가 아닌지 확인하는 방법을 검색해봤다.


Visual Studio 의 dumpbin 툴을 통해 지원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 dumpbin /headers <filepath> | findstr "magic machine"


14C machine (x86)



출처 : https://blogs.technet.microsoft.com/windowshpc/2009/03/26/how-to-tell-if-a-exe-file-is-a-32-bit-or-64-bit-application-using-dumpbin/

728x90

Daily Build 작업이 직접 실행했을 때는 40분 정도 걸리고 스케쥴러로 동작하면 1시간 반 정도 걸렸다. 작업 경로나 실행 사용자 문제로 SSD가 아닌 HDD 에서 작업이 되나 싶었는데 그건 아니었다.


한참 찾다가 스케쥴러가 돌 때 작업 관리자로 보니 프로세스 우선 순위가 '낮은 우선 순위' 였다.


속성에서 프로세스 우선 순위를 높이는 설정을 찾아봤으나 찾을 수가 없었다.


검색을 해보니 내보내기를 통해 xml 파일을 생성 후 Task > Settings > Priority 내 값을 수정 후 가져오기를 통해 새로 만들어야 했다.


    <WakeToRun>false</WakeToRun>

    <ExecutionTimeLimit>PT72H</ExecutionTimeLimit>

    <Priority>7</Priority>

  </Settings>


기본값은 7 'BELOW_NORMAL_PRIORITY_CLASS' 인데 4-6 사이의 NORMAL_PRIORITY_CLASS 로 지정하면 된다.


참고 : 


https://bdbits.wordpress.com/2010/04/29/setting-a-scheduled-task-process-priority/


TaskSettings.Priority property https://msdn.microsoft.com/en-us/library/windows/desktop/aa383512(v=vs.85).aspx

728x90

언리얼은 엔진 모듈을 에디터 모드일 때는 dll 형태로 관리한다. 게임 모듈도 dll 형태로 빌드되는데 Shipping 빌드 때는 monolithic 이라고 해서 static 하게 다시 빌드한다.


OnlineSubsystem 과 같은 모듈들을 추가할 때 플러그인 형태로 구현하는데 dll 형태라 class 사용 시 link 에러가 발생했다. 일반적으로는 __declspec(dllexport), __declspec(dllimport) 를 명시해주는데 엔진 코드에 이런 부분을 발견할 수가 없었다.


찾아보니 ONLINESUBSYSTEM_API 와 같이 (모듈이름)_API 라고 명시해 놓으면 UnrealBuildTool 이 알아서 dllexport, dllimport 를 붙여주는 것이었다.


언리얼은 여기저기 숨겨진 규칙들이 아직도 많은 것 같다.


출처 : https://docs.unrealengine.com/latest/INT/Programming/Modules/API/

728x90

엔진이 변경되거나 새로운 애셋이 대량으로 추가되면 ShaderCompile 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IncrediBuild 를 이용하면 분산 처리하여 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설정


: Engine/Config/Config/ConsoleVariables.ini 파일 중 아래 내용을 수정한다.


; Uncomment to enable XGE shader  compilation.
r.XGEShaderCompile  = 1


: 혹은 DefaultEngine.ini 파일에 아래 내용을 추가한다.


[SystemSettings]
r.XGEShaderCompile = 1


주의


: ShaderCompiler 가 ShaderWorkinDir 로 [UserTempDir]/UnrealShaderWorkingDir 을 사용한다.

: UserTempDir 는 기본은 C:\Users\XXX\AppData\Local\Temp 와 같은 경로다.

: C 용량이 부족하거나 SSD 가 아닌 경우 IncrediBuild 효과가 감소된다.

: UserTemp 경로를 적절하게 변경하자.

: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

: 고급 시스템 설정

: 고급 탭에서 '환경 변수' 버튼 클릭

: 사용자 변수 중 TEMP 와 TMP 의 값을 적절하게 변경한다.

: 빌더와 같이 여러 사용자가 사용하는 PC 의 경우 사용자마다 이 작업을 해줘야 한다.

: 아니면 엔진에서 ShaderWorkingDir() 를 수정하자.


효과


: 각 프로젝트마다 다르겠지만 6시간 정도 소요되던 작업이 1시간 30분 정도에 완료되었다. -_-)b


728x90

언리얼을 쓰다보면 엔진이 바뀌거나 맵 데이터가 변경되었을 때 셰이더 컴파일 시간이 굉장히 오려걸린다. 다른 컴퓨터에서 생성된 DDC 를 사용하면 그 시간을 줄일 수 있다.


1. 공유할 컴퓨터의 DerivedDataCache 폴더를 공유한다.

2. DefaultEngine.ini 파일에서 다음 내용을 수정한다.

; 엔진의 BaseEngine.ini 에서 로컬 빌드된 엔진 사용시에는 DerivedDataBackendGraph , 설치 버젼의 엔진을 사용중이라면 InstalledDataBackednGraph 섹션의 내용을 복사한다.

3. Hierachy 부분에 Shared 영역이 있는지 확인한다. 없다면 추가한다.

4. 아래와 같이 없으면 Shared 추가하고 Path 를 위에 공유한 PC의 폴더로 수정한다.


[DerivedDataBackendGraph]

MinimumDaysToKeepFile=7

Root=(Type=KeyLength, Length=120, Inner=AsyncPut)

AsyncPut=(Type=AsyncPut, Inner=Hierarchy)

Hierarchy=(Type=Hierarchical, Inner=Boot, Inner=Pak, Inner=EnginePak, Inner=Local, Inner=Shared)

Boot=(Type=Boot, Filename=%GAMEDIR%DerivedDataCache/Boot.ddc, MaxCacheSize=256)

Local=(Type=FileSystem, ReadOnly=false, Clean=false, Flush=false, PurgeTransient=true, DeleteUnused=true, UnusedFileAge=17, FoldersToClean=-1, Path=../../../Engine/DerivedDataCache)

Shared=(Type=FileSystem, ReadOnly=false, Clean=false, Flush=false, DeleteUnused=true, UnusedFileAge=19, FoldersToClean=-1, Path=\\mystudio.net\DDC, EnvPathOverride=UE-SharedDataCachePath)

AltShared=(Type=FileSystem, ReadOnly=true, Clean=false, Flush=false, DeleteUnused=true, UnusedFileAge=19, FoldersToClean=-1, Path=\\mystudio.net\DDC2, EnvPathOverride=UE-SharedDataCachePath2)

Pak=(Type=ReadPak, Filename=%GAMEDIR%DerivedDataCache/DDC.ddp)

EnginePak=(Type=ReadPak, Filename=../../../Engine/DerivedDataCache/DDC.ddp)



5. 에디터를 열어 열어본 적이 없는 맵을 열었을 때 셰이더 컴파일이 없는 것을 확인한다.


출처 : https://docs.unrealengine.com/latest/INT/Engine/Basics/DerivedDataCache/


728x90

여러 사람이 빌드 장비에서 UE4 패키징하다보면 C 드라이브의 용량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DerivedDataCache 가 유저별로 생성되어 사용자 수에 비례해서 용량을 잡아 먹고 있었다. 덤으로 해당 유저로 최초 패키징 시에 더 많은 시간이 걸리고 있었다.


Install 버전의 DerivedDataCache 경로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다음 설정 파일을 수정해야 한다.


파일명 : Engine/Config/BaseEngine.ini


[InstalledDerivedDataBackendGraph] ; 섹션


( 변경 전 )


Local=(Type=FileSystem, ReadOnly=false, Clean=false, Flush=false, PurgeTransient=true, DeleteUnused=true, UnusedFileAge=34, FoldersToClean=-1, Path="%ENGINEVERSIONAGNOSTICUSERDIR%DerivedDataCache")


( 변경 후 )


Local=(Type=FileSystem, ReadOnly=false, Clean=false, Flush=false, PurgeTransient=true, DeleteUnused=true, UnusedFileAge=34, FoldersToClean=-1, Path="D:\DerivedDataCache")


%ENGINEVERSIONAGNOSTICUSERDIR% 라고 적혀 있으면 C:\Users\username\AppData\Local\UnrealEngine\Common 같은 경로를 가리키게 된다.


Config 파일 내 아래 keyword 들은 아래와 같이 교체된다.


// Replace %GAME% with game name.

// Replace %GAMEDIR% with the game directory.

// Replace %ENGINEUSERDIR% with the user's engine directory.

// Replace %ENGINEVERSIONAGNOSTICUSERDIR% with the user's engine directory.

// Replace %APPSETTINGSDIR% with the game directory.


728x90

+ Recent posts